RSS Reader의 종류는? 무엇이 좋을까?
RSS 주소를 얻는 방법을 배워보았다. 이제 이 주소를 등록하여 본격적으로 사용할 RSS리더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아래 자료는 네이버에서 RSS를 검색하여 나온 결과를 인기도, 한글, 영문 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재미난 것으로는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구글 리더는 검색결과에 나오지 않았다는 것. 이렇듯 당연히 포함돼야할 결과가 누락되는 이유는 각자의 생각에 맡기겠다.
한글 RSS 리더
RSS리더 연모 HTTP://WWW.YEONMO.CO.KR
한글 RSS리더 연모,다운로드 및 RSS 관련정보 제공
웹기반 RSS리더, 디렉토리 및 검색 제공.
엑스파이더 http://www.xpyder.co.kr/
웹기반 RSS리더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 RSS채널, 관련소식, 팁 등 수록.
퍼니 익스프레스 http://www.funnytalk.net/
RSS 블로그 리더, 퍼니 익스프레스 다운로드, 클럽 알리미, 캐릭터 메신저, 뉴스 제공.
엠나우넷 http://www.mnow.net/
뉴스, 인터넷동향 등 테마별 RSS 구독 서비스 제공.
인트라V뉴스 http://www.intravnews.com/
아웃룩 플러그인 방식의 구독기 다운로드 및 스크린샷 제공.
정치, 경제, 연예 등 분야별 뉴스RSS 서비스 제공.
아워링커 http://www.ourlinker.com/
RSS 리더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 전문업체, RSS Builder, RSS 생성기 등 제품 소개.
영문 RSS 리더
피드버너 http://www.feedburner.com/
블로그 RSS 구독 통계 서비스, 서비스정보 제공.
피쉬 인기도http://www.3fishes.co.kr/
네트워크 기반 RSS 리더, 설치법, 다운로드 제공.
블로그라인스 http://www.bloglines.com/
웹 기반 RSS 구독기, 블로그 검색, 토픽, 날씨예보 제공.
KlipFolio http://www.klipfolio.com/index.php?action=downloads,download
Rss리더 KlipFolio 다운로드 수록.
Firefox 브라우저용 RSS 구독기 확장기능 사이트.
FeedDemon - 뉴스게이터 http://www.bradsoft.com/feeddemon/
RSS 리더, 윈도우즈 기반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수록.
이외에도 많은 리더들이 존재 하지만 우리 나라의 경우 프로그램 설치 방식인 연모와 웹 리더인 HanRSS가 많이 쓰인다.
각각의 RSS리더에서 제공 하는 기능들이 많기에 자세한 사용 방법은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하고 일단 기본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 하도록 하겠다.
연모 www.yeonmo.co.kr 프로그램 설치방식의 RSS리더로 국내에 가장 많은 제휴를 맺고 있는 RSS리더 이다.
연모 사이트로 접속하여 프로그램 설치를 마치고 처음 실행을 하게 되면 볼 수 있는 화면이다.
초기 화면에 여러 분야의 RSS번들을 제공해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소개하였던 RSS 피드(주소) 얻는 방법을 기억하는가? 앞서 소개된 방법으로 얻어진 RSS 주소를 그림에 나온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진행한 뒤 추가하면 된다.
한RSS www.hanrss.com 웹 기반의 RSS리더, 회원 가입시 이메일 정보만 요구하여 접근이 용이하다. 웹 기반이라는 장점답게 자신이 설정해둔 각종 설정 및 정보들을 언제 어디서나 동일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치 메일을 사용 하듯이 편하게 사용 할 수 있다.
www.hanrss.com 주소로 이동 한 후 간단한 가입절차를 거쳐 로그인 하게 되면 볼 수 있는 페이지다. 앞서 얻어진 RSS주소를 위 그림에 나온 절차를 거쳐 추가 하면 된다.
구글 RSS http://www.google.com/reader
네이버에서는 누락된 세계적인 RSS리더 구글리더다. 전체적인 UI는 한RSS와 비슷한데 국내 구글 사용자를 위해 간단히 소개해본다..
이번 오피스 2007 아웃룩에서는 RSS 리더 기능이 추가 되었는데 만약 2007아웃룩을 자주 사용 하는 분들이라면 눈여겨 볼 만 하다.
2007아웃룩 실행 후 RSS 피드 항목에서 마우스 우클릭. 나머지는 그림에 나온데로 차례대로 진행한 후 RSS주소를 추가 하면 된다.
RSS 관리를 보다 손쉽게 하기 위해선 폴더를 만들어 관리 하면 된다.
분류별로 폴더를 만들면 보다 쉽게 관리 할 수 있다.
지금까지 RSS와 그 사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 보았다. 뉴스, 블로그, 쇼핑, 취업 등 현재 RSS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들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정보들을 쉽고 빠르게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은 자칫 사용자로 하여금 큰 의욕을 불어 넣기 마련이다.
그러나 무턱대고 늘려나간 정보들이 짐이 되어 정보들 관리에만 몇 시간씩 시간을 소모하기도 십상이다. 편하고 쉽다고 해서 무턱대고 정보를 늘릴 것이 아니라 정보의 질과 활용의 유무를 따져 소화할 수 있는 정보만 습득하는 것도 노하우다.
4줄 요약
1. 한글 Rss 리더 프로그램 설치
2. 자주 가는 사이트의 RSS 주소를 얻자
3. RSS 리더 프로그램에 2. 에서 얻어진 주소를 추가하자
4. 끝